전국 곳곳에서 빈대가 출몰했다는 신고가 잇따르며 불안감이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정부가 빈대를 방제할 수 있는 살충제 8종을 긴급 승인했다. 빈대는 기존 살충제에는 내성(저항성)을 가져 방제하기 어렵지만, 긴급 승인된 살충제에는 내성이 적다. 다만 가정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은 10일 빈대를 방제하는 데 쓸 수 있도록 네오니코티노이드계 디노테퓨란으로 만든 살충제 8개 제품을 긴급 사용 승인했다고 밝혔다.
앞서 질병관리청은 빈대가 기존에 사용하던 피레스로이드계 내성을 형성해 환경과학원에 추가 살충제 긴급 사용 승인을 요청했다. 새롭게 도입되는 네오니코티노이드계 살충제는 국내에서 모기·파리·바퀴벌레를 방제하기 위한 용도로 이미 사용되고 있다. 이미 인체·환경 안전성이 검증돼 있다.
이번에 긴급 사용 승인된 제품은 모두 전문 방역업자가 사용하는 방제용이다. 가정용 살충제는 이번 긴급 승인 대상에서 제외됐다. 가정용 살충제는 보호장구 없이 실생활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인체가 노출될 가능성이 높아 보다 더 엄격한 안전성 검증이 필요하다는 전문가 의견을 반영했다. 환경과학원은 네오니코티노이드 계열 살충제를 가정용으로 쓸 수 있도록 안전성 검증 등 후속 승인 절차를 착수했다. 내성이 덜한 다른 살충제도 추가 발굴할 계획이다.
금한승 국립환경과학원장은 “해충에 대한 화학적 방제는 필연적으로 저항성 문제를 일으켜 인체와 환경에 영향을 줄 수 있다”며 “증기(스팀)·고온 처리, 진공청소기 흡입 등 물리적 방제를 우선하고 화학적 방제(살충제 사용)는 인체에 노출되지 않도록 용법·용량과 주의사항을 반드시 지켜 꼭 필요한 곳에만 최소한으로 사용해야 한다”고 했다.
빈대용 살충제는 직접 분사하는 제품으로, 공기 중에 뿌리거나 연무·연막·훈연 용도로 사용할 수 없다. 인체에 직접 닿는 의류, 침대, 이불, 매트리스, 침대에도 사용이 금지된다.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외앱 또래살인 가해자 정유정 신상공개 일반적 사이코패스와 다른 이유 (22) | 2023.06.02 |
---|
댓글